천주교 매뉴얼/천주교 교리 (12) 썸네일형 리스트형 [성모 호칭 기도 깊이 읽기 - 5] 성모님의 숨은 칭호 묵상 ② — 다윗의 망대 ~ 샛별 서론성모 호칭기도에는성모 마리아를 향한 깊은 신앙과 사랑이다양한 상징의 언어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칭호들은 단지 예술적 수사나 미사여구가 아니라,하느님께서 성모님 안에 행하신 구원의 신비를 담은 고백입니다. 이 글에서는성모 호칭기도의 상징적 칭호들 중두 번째 묶음이라 할 수 있는다윗의 망대부터 샛별까지의 칭호를 묵상하며,그 안에 담긴 신학적 의미와 개인적 적용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1. 다윗의 망대(Tower of David)“네 목은 다윗의 망대 같구나.”(아가 4,4) 이 표현은하느님의 사랑을 받는 여인의 강인함과 아름다움을시적인 언어로 찬미한 구절입니다. 성모님은영적 전투에서 무너지지 않는 강한 탑과 같은 분이십니다.성 암브로시오는 이렇게 말합니다.“마리아는 성곽과 같다.그녀는 악마의 어떤 .. [성모 호칭 기도 깊이 읽기 - 4] 성모님의 숨은 칭호 ① — 정의의 거울 ~ 신비로운 장미 서론성모 호칭기도에 등장하는 성모님의 칭호들은단순히 화려한 수사가 아닙니다. 각 칭호마다성모님의 삶, 덕목, 그리고 하느님과의 관계를 깊이 묵상하게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성모 호칭기도 중에서도 특별히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 칭호들을하나하나 살펴보며그 깊은 신학적, 영적 의미를 함께 묵상해보고자 합니다. 먼저,정의의 거울(Mirror of Justice)부터신비로운 장미(Mystical Rose)까지첫 번째 묵상을 시작합니다.1. 정의의 거울 (Mirror of Justice) '정의'라는 말은 성경 안에서하느님의 뜻에 온전히 순종하는 삶을 의미합니다. 성모 마리아께서는하느님의 뜻을 완전히 받아들이시고,그 뜻을 온전히 살아내신 분이십니다. 따라서 성모님은정의의 거울이라고 불립니다. 거울은 있는 그대로를 반영.. [성모 호칭 기도 깊이 읽기 - 3] 성모 호칭 기도의 구조와 비밀 — 신앙 고백의 길 서론우리가 성모 호칭기도를 바칠 때,그 흐름이 참 부드럽고 자연스럽다고 느낀 적이 있으신가요?이 기도는 단순히 많은 칭호를 나열한 것이 아닙니다.오히려하느님께 향하는 우리의 마음이성모님을 통해 질서 있게 드러나는 여정을 담고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성모 호칭기도가 어떤 구조를 갖고 있으며,그 구조 안에 숨겨진깊은 신앙의 고백과 의미를 함께 살펴보고자 합니다. 1. 성모 호칭기도의 전체 흐름성모 호칭기도는 크게 네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삼위일체 하느님께 드리는 기도성모 마리아에 대한 칭호하느님의 어린양에 대한 청원마침 기도이 구조는무질서한 나열이 아니라,기도하는 이가 점점 더 하느님께 가까이 다가가도록세심하게 설계되어 있습니다.2. 삼위일체를 향한 신앙 고백기도의 시작은성부와 성자, 성령 — 삼위일체.. [성모 호칭 기도 깊이 읽기 - 2] 시대와 함께 한 성모 호칭 기도 : 칭호의 추가와 의미 서론성모 호칭기도는단순한 기도문의 나열이 아닙니다.시대의 고통과 소망,신자들의 신앙과 사랑이교회 안에서 응축되어하나의 이름으로 성모님께 바쳐져 왔습니다.이번 편에서는교황들이 시대의 필요에 따라성모 호칭기도에 새롭게 추가한 칭호들을 중심으로그 깊은 의미를 함께 묵상해 보고자 합니다. 1. 성모님의 칭호는 왜 추가되었을까요?성모 호칭기도에 등장하는 각 칭호는아름다운 표현이기 이전에,시대를 향한 신앙 고백이며교회의 응답입니다.칭호는 무작위로 붙여지는 것이 아닙니다.항상 교황의 승인을 거쳐야 하며,그 당시 교회의 영적 상황과 교리적 맥락을 담아야만호칭기도 안에 담길 수 있습니다.2. 1675년 – “묵주기도의 모후(거룩하신 묵주의 모후)”17세기 후반,교회는 묵주기도 형제회의 확산을 계기로“거룩하신 묵주의 모.. [성모 호칭 기도 깊이 읽기 - 1] 성모 호칭기도와 로레토 연도 서론우리가 매일 바치는 성모 호칭기도,그 속에 담긴 깊은 신앙과 역사의 무게를얼마나 알고 계신가요?성모 호칭기도(Litany of the Blessed Virgin Mary)는그 자체로 500년 이상을 이어온교회의 살아 있는 기도입니다.이번 글에서는성모 호칭기도, 특히 로레토 연도(Litany of Loreto)가어떻게 태어나고 전파되었는지를조금 더 깊이 살펴보고자 합니다. 1. 리타니(Litany)의 기원 — 하느님을 향한 반복의 기도'리타니(litany)'라는 말은라틴어 litania,그리고 그보다 앞선 그리스어 λιτανεία (litaneía)에서 유래했습니다.그 의미는 "간청", "청원"입니다.구약 성경에서는반복되는 응답을 통해 하느님을 찬미하고 청원하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대표적인 예가.. 교황이란 누구인가요? (교황 뜻, 임기 등을 포함한 모든 것) 1. 교황, 누구인가요?'교황'은 가톨릭교회의 최고 지도자를 뜻합니다.영어로는 "Pope",라틴어로는 "Papa"라고 부릅니다."Papa"는 '아버지'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즉, 교황은 전 세계 가톨릭 신자들의영적인 아버지 같은 존재입니다.교황은 신앙을 지키고 전파하며,교회를 이끌 뿐 아니라평화와 인권, 환경 문제에도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냅니다. 2. 교황은 어떤 일을 하나요?교황의 역할은 단순히 종교 의식에 그치지 않습니다.신앙과 교리를 지킵니다.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위해 일합니다.국제사회에서 평화와 정의를 촉구합니다."희망은 우리를 실망시키지 않습니다."—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은 절망 속에서도희망의 불꽃을 지키는 존재입니다. 3. 교황은 어떻게 뽑히나요?교황 선출은 '콘클라베'라는 특별한 .. 왜 우리는 식사 전·후 기도를 바칠까요? 우리 일상에서 가장 자연스럽게 하는 기도 중 하나는 바로 식사 전·후 기도입니다.신앙인이라면 밥 먹듯이 하는 이 작은 기도를 통해 매 끼니마다 하느님과 연결되는 순간을 만납니다.그런데 가끔 급하게 식사를 하다가 밥 한 숟갈을 뜬 후에야 ‘아차’ 하며 기도를 바칠 때도 있습니다.또는 식사 전에는 열심히 기도했지만, 식사 후에는 깜빡하고 넘어가버리기도 하지요.하지만 식사 전·후 기도는 단순한 습관을 넘어,우리 신앙의 깊은 의미를 담고 있다는 것을 기억하면 좋겠습니다.🌿 식사 전 기도: 주님께 받은 은혜에 감사하는 시간식사 전 기도는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셨음을 기억하고,그 은혜에 감사드리는 시간입니다. "주님, 은혜로이 내려주신 이 음식과 저희에게 강복하소서.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 사도신경과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무엇이 다를까? 사도신경과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무엇이 다를까?천주교 신자로 살아가며 미사 때마다 자주 접하는 두 가지 신앙고백이 있습니다. 바로 「사도신경」과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입니다. 두 신경 모두 우리가 믿는 바를 고백하는 것이지만, 각자의 역사적 배경과 표현 방식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오늘은 천주교인의 시각에서 두 신경의 차이를 명확히 구분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하겠습니다. 1. 두 신경의 기원구분사도신경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형성 시기2세기경부터 초대교회에서 사용니케아 공의회(325년),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381년)목적세례 준비 신자들의 기본 신앙고백이단 논쟁에 대한 정통 신앙 확립특징간결하고 개인적인 신앙고백상세하고 공식적인 신앙고백 2. 내용의 차이사도신경초보.. [사회교리] 가톨릭에서 청년들에게 사회교리가 왜 필요한지? *서울대교구에서 발행한 청년주보에 나온 글입니다. 예전에 어느 제약회사에서 건강보조식품을 만들어 광고를 내보낸 것을 본 적이 있습니다. 자사 제품을 소개하며, 이 제품이 필요한 사람들은 '아직 먹어보지 않은 모든 사람'이라고 재치있게 표현했습니다. 저 역시 이 표현을 빌려오고 싶습니다. 가톨릭 교회의 사회교리가 필요한 사람은 '아직 사회교리를 접해보지 못한 모든 사람'이라고요. 물론 여기에는 청년들도 포함됩니다. 그렇다면 사회교리는 무엇이고, 우리 신앙에 어떤 도움을 주는 것일까요? 우리는 하루의 대부분을 이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갑니다. 자동차나 대중교통을 타고, 직장이나 학교로 갑니다.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때로는 신용카드나 각종 페이를 통해 경제 활동도 합니다. 여러 모임에 가입하기도 하고, 때로.. 천주교 성인/복자 약전 천주교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 홈페이지에 들어가면성인, 복자, 가경자, 하느님의 종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https://cbck.or.kr/koreanmartyrs HOME |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Catholic Pastoral Institute of Koreacbck.or.kr 이전 1 2 다음